티스토리 뷰
설 연휴 동안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거나 가족 모임을 가지면서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, 응급의료정보를 사전에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는 설 연휴 동안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응급의료정보입니다.
1. 설 연휴 동안 문 여는 응급의료기관 및 병원
- 응급실 운영 병원: 설 연휴 기간에도 응급실을 운영하는 병원이 많습니다. 일부 병원은 연휴 기간 동안에도 24시간 응급진료를 제공하므로, 가까운 응급병원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응급의료포털을 통해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습니다. (응급의료포털)
- 각 지역의 응급의료센터도 24시간 운영됩니다.
- 약국 및 의약품 구입: 약국의 운영시간은 설 연휴 동안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휴일지킴이 약국 정보는 각 지역 보건소나 대한약사회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응급의료정보센터: 1339
- 상황 시, 이 번호로 전화하면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 응급환자 이송, 약국 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하므로 긴급 시 활용하면 유용합니다.
- 소아 응급의료: 만약 아이가 응급 상황에 처했을 경우, 소아 응급의료센터에 연락을 취할 수 있으며, 1339에서도 관련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로 전화하거나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‘응급’을 검색하면 방문 가능한 병의원과 약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스마트폰에 ‘응급의료정보제공(이젠·e-gen)’ 앱을 미리 깔아두는 것도 방법입니다.
- 증상의 경중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는 119에 전화해 의학적 상담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.
3. 응급 상황 시 대처법
설 연휴에는 사고나 질병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를 대비해 응급 상황에 대한 기본적인 대처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1) 심정지 및 심장마비
- 가슴압박 심폐소생술(CPR):
- 흉부 압박: 가슴 중앙에 양손을 포개어 놓고 약 5cm 깊이로 분당 100~120회의 속도로 압박합니다.
- 인공호흡: 성인의 경우 30회의 흉부 압박 후 2회의 인공호흡을 진행합니다. (만약 인공호흡이 어려운 경우, 가슴 압박만 계속할 수 있습니다.)
2) 출혈 및 화상
- 출혈:
- 상처 부위를 깨끗한 천이나 붕대로 감싸고 압박하여 출혈을 막습니다.
- 상처 부위가 팔꿈치나 무릎 부위일 때는 상처 부위를 높게 들어 올려 혈액순환을 도와야 합니다.
- 화상:
- 찬물로 씻기: 화상 부위를 10~20분 정도 찬물로 씻은 후 냉찜질을 합니다.
- 화상 부위에 버터, 기름을 바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3) 기도 막힘
- 하임리히법:
- 기도가 막혀 숨을 못 쉬는 경우, 하임리히법(복부압박)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.
- 손을 주먹 쥐고 배꼽 위쪽에 놓고 강하게 배를 압박하여 이물질을 빼냅니다.
4) 경련
- 경련이 발생한 경우, 입에 물건을 넣지 말고, 몸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머리를 보호합니다.
-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경우 즉시 응급실로 이동해야 합니다.
4. 설 연휴 동안 긴급 상황 대비 정보
- 교통사고 및 사고 발생 시: 교통사고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, 119에 전화하여 구급차를 요청하거나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. 사고 후 응급처치가 필요하면 심폐소생술, 지혈 등의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.
- 식중독 및 급성 질환: 설날 음식에서 식중독이나 급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구토, 설사가 심할 경우, 수분을 보충하고 응급실로 이송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설 연휴 기간 중 급성 질환에 대비해 미리 소화제, 지사제 등을 준비해 두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5. 응급처치 키트 준비
- 소화제, 지사제: 설 음식으로 인한 급체나 소화불량 시 유용.
- 해열제: 고열이 나거나 몸살에 도움이 되는 해열제.
- 상비약: 감기약, 진통제, 알레르기 약, 밴드, 거즈, 소독제 등.
- 응급처치 도구: 개인 응급처치 키트에는 붕대, 거즈, 소독약, 핀셋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.
6. 응급의료 정보 활용 팁
- 응급의료 포털: 응급의료포털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을 통해 응급의료기관 위치, 약국 정보, 긴급상담 서비스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지역 보건소 및 병원 안내: 설 연휴 동안 주요 병원 및 보건소의 휴일 진료 여부를 미리 확인해 두면 응급 상황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설 연휴 기간 동안 응급 상황에 대한 대비는 중요한 사항입니다. 사전 정보와 준비를 통해 응급 상황에 신속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세요. 응급의료기관과 응급전화를 미리 확인하고, 중요한 응급처치법을 숙지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.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실손보험#보험료차등화#비급여항목보장의축소#소비자맞춤형보험#자동화된청구시스템
- 설연휴#교통사고#안전수칙#교통법규
- 작은목표설정#자기자신보상#지속적인노력#습관만들기
- 설날#무료행사#명절분위기#참여가능
- 먹거리물가인상#스타벅스#농산물#할인혜택#쿠폰활용
- 소소한행복#만족#작은목표#만족감
- 돈관리#모임통장#통장개설#자금관리
- 설날#용돈#조카#기쁨
- 설선물#명절#포장#감사와마음
- 경조사비#축의금#사회적관례#경제적부담
- 자동차세#연납신청#5%할인#매년1월한달동안신청
- 국민연금#임의가입#수령액인상#노후준비
- 설연휴#응급의료#응급전화#응급의료기관
- 노후부자#일확연금#투자#지출관리
- 다이어트#보험상품#건강#헬스케어
- 저속노화식단#애라원#저속노화밥#테라피하우스
- 작은습관#변화#작은목표#꾸준함
- 재정관리#목돈#목표#투자
- 건강운#띠별운세#건강습관#건강관리
- 다이어트#비만약#부작용#식습관개선과운동
- 설연휴#교통증편#고속버스#기차#항공#여객선#대중교통#휠체어
- 미국비자#h-1b비자#엔지니어#이민정책
- 긴연휴#명절#명절후유증#극복#에너지회복#건강한식단#충분한휴식#가벼운운동#체중관리
- 설날#세뱃돈#저축#투자#지출계획
- 설명절#신권교환#세뱃돈#휴게소
- 삼성화재#롯데손해#신한ez손해보험#한화손해보험
- 설연휴#카드사#할인혜택#명절선물
- 설음식#보관방법#명절음식아이디어#요리
- 재물운#띠별#신년운세#2025년
- 교육비#사교육#지출#공교육강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